개요 최근 참여한 테스트 코드 스터디에서 테스트과 관련된 좋은 인사이트를 많이 얻었다. 평소 테스트가 어려웠는데, 스터디 이후 조금은 재밌다는 생각이 들었다. 스터디에서 배운 점들을 정리하고 복습하고자 포스팅을 작성해본다 ✅ 인프런의 Java/Spring 테스트를 추가하고 싶은 개발자들의 오답노트를 학습하며 정리한 포스팅입니다! 왜 테스트 코드를 짜야 하는가?✅ 인수 테스트의 한계우리는 보통 내가 만든 코드가 의도대로 잘 돌아가는지 검증하는 목표로 테스트 코드를 짠다. 그러다보니 흔히 이런 생각을 하곤 한다.굳이 테스트 코드를 안짜도, 직접 실행해서 이것저것 눌러보면 충분히 테스트 한 게 아닐까? 예를 들어 REST API를 만든다고 가정할 때, 굳이 테스트 코드를 짜지 않고도 Postman이나 Swa..
개요 개발을 하면 할 수록, 테스트의 중요함에 대해 깨닫게 된다. 규모가 큰 프로젝트에서 코드 변경으로 인한 예기치 못한 사이드 이펙트를 방지해주고, 의도한 대로 기능이 동작하는지 빠르게 확인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테스트 코드. 작성한 후 돌려보는 것 까지 필수로 해야겠지? 🤔 테스트 컨테이너를 이용해 테스트 멱등성을 유지하며 손쉽게 프로젝트 테스트를 수행해보자! 테스트 환경을 만드는 세 가지 방법 📚 Test용 DB를 세팅하는 여러가지 방법 대부분의 경우 우리는 운영 환경별로 Property (Properties)를 분리해서 사용한다. 각 property 내부엔 active 환경에 맞는 DB, Log level 등 다양한 환경 설정이 존재한다. 개인적인 경험으로는, prod(운영 서버), dev(개발 ..